본문 바로가기
  • Godicc's IT에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Apple489

차세대 Apple Silicon 로드맵 공유 • 3nm 공정, 최대 40코어 CPU 적중률 90% The Information 기자 Wayne Ma는 애플이 앞으로 더 강력한 2세대 및 3세대 Apple Silicon 계획을 가지고 있다며 차세대 Apple Silicon의 로드맵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현재 1세대 M1, M1 Pro 및 M1 Max는 모두 5nm 공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지금보다 더 개선된 TSMC의 5nm 공정을 사용해 2022년에 2세대 Apple Silicon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2세대 Apple Silicon은 기존 1세대 프로세서들과 성능과 전성비 향상폭은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습니다. 2세대 Apple Silicon은 더 많은 코어를 탑재할 수 있도록 최소 2개 이상의 다이가 탑재될 것이라고 합니다. 애플은.. 2021. 11. 6.
Apple ID 관리 웹사이트, 새로운 UI 적용 오늘, 애플이 Apple ID 관리 웹사이트의 UI를 변경하여 이전보다 훨씬 깔끔하고 현대적인 새로운 디자인을 선보였습니다. Apple ID 관리 웹사이트의 로그인 전 화면에는 “Apple의 모든 서비스에 사용하는 계정입니다” 라는 문구와 함께 하나의 Apple ID와 암호로 모든 Apple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UI 변경 이전 화면에는 Apple 기기를 사용하는 사람이 있는 이미지가 표시되었었습니다. Apple ID 관리 웹사이트에 로그인하면 왼쪽 위에는 자신의 프로필이 표시되며 왼쪽 아래에는 카테고리가 표시됩니다. 오른쪽에는 보고있는 카테고리에 따라 달라지며 모두 카드 형태로 보여집니다. 대한민국 기준 보여지는 카테고리는 ‘로그인 및 보안’, ‘개인 정보’, ‘지불 방법’, .. 2021. 11. 5.
차세대 iPad mini, 젤리스크롤 해결하기 위해 120Hz ProMotion 지원할 것 새로운 루머에 따르면, 애플은 현재 iPad mini 6에서 제공되고 있는 60Hz보다 더 높은 120Hz ProMotion을 지원하는 8.3인치 차세대 iPad mini를 개발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 9월, 애플은 iPad mini를 처음 출시한 이후 8.3인치 디스플레이, 상단 전원버튼 Touch ID, A15 Bionic, USB-C 포트 등 완전히 재설계된 iPad mini 6를 선보였습니다. 하지만 iPad mini 6가 출시된 뒤 세로 모드에서 상하로 스크롤할 때 좌우 높이가 다르게 새로고침되는 젤리 스크롤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LCD 디스플레이는 한 줄씩 화면을 새로고침 하기 때문에, 위줄과 아래줄이 새로고침되는 시간이 조금씩 다릅니다. 이는 LCD 디스플레이의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오늘.. 2021. 11. 4.
iPhone 14 라인업에 탑재될 A16 Bionic, 4nm 공정 기반 제작 DigiTimes 보도에 따르면, 차세대 아이폰을 위한 칩셋은 iPhone 12 및 13 라인업에 사용된 칩셋의 5nm 공정보다 훨씬 작은 4nm 공정이 될 것이라 밝혔습니다. 애플이 지난해 iPad Air 4와 iPhone 12 라인업에 탑재했던 A14 Bionic 칩셋은 5nm 공정을 채택했었습니다. 올해 출시된 iPhone 13 라인업 또한 5nm+ 공정을 사용했으며, 기사에 따르면 애플의 칩셋 공급 업체 TSMC가 iPhone 14 라인업에 사용될 A16 Bionic 칩셋을 4nm 공정으로 제작할 것이라고 합니다. 공정이 미세화될수록 칩셋의 물리적인 크기가 작아지고 성능과 전성비가 개선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The Information의 보도에 따르면, TSMC와 애플이 3nm 공정 칩셋 생산에.. 2021. 11. 4.
Apple TV+, Apple TV 앱 및 Apple One 대한민국 서비스 시작 2021년 11월 4일 오전 2시부터 대한민국의 Apple TV+와 Appe TV 앱 그리고 Apple One의 서비스가 시작됐습니다. ​ - Apple TV+ Apple TV+는 업계 최초의 오리지널 콘텐츠만 제공하는 콘텐츠 구독 서비스이자 이 시대 가장 뛰어난 상상력을 지닌 스토리텔러를 위한 공간으로, 다양한 영감을 주고 수상에 빛나는 오리지널 시리즈 및 영화 라인업을 제공합니다. 구독자는 Apple TV+를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광고 없이, VOD로 Apple TV 앱을 통해 시청 가능합니다. ​ Apple TV 앱은 iPhone, iPad, iPod touch, Mac, Apple TV에 기본 탑재되어 있고, 웹사이트에서도 온라인으로 시청 가능합니다. Apple TV 앱은 또한 일부 삼성 및 L.. 2021. 11. 4.
Apple, 채용 공고를 통해 또 한번 공개되지 않은 “home OS” 언급 지난 6월, WWDC를 앞두고 애플의 채용 공고에서 공개되지 않은 Home OS에 대한 내용이 공개되면서, 애플이 WWDC를 통해 home OS를 공개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WWDC에서 home OS가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한 번도 공개되지 않은 home OS는 계속해서 애플의 채용 공고에서 언급되고 있습니다. 6월에도 home OS 관련 내용이 채용 공고에서도 나타났었는데, 이는 Apple Music 팀의 선임 iOS 엔지니어 직책이었습니다. 초창기 채용 설명에서는 “애플 전체의 시스템 엔지니어와 협력하여 iOS, watchOS, tvOS 및 home OS의 내부 구동 방식에 배우게 될 것입니다.” 라고 적혀있었습니다. 이후 애플은 home OS라는 단어를 다시 HomePo.. 2021. 11. 3.
첫 OLED 탑재 MacBook 출시 연기 • 향후 micro LED 탑재 계획 없음 지난번 The Elec의 보도에 따르면, 삼성 디스플레이는 MacBook에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OLED 패널의 생산 라인의 준비를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기사에서는 삼성 디스플레이가 OLED를 위한 새로운 생산 공정의 초기 개발을 착수했다고 보도하면서, 이 새로운 생산 라인의 OLED 패널은 애플의 차세대 MacBook에 사용될 예정이었습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2023년 말 또는 2024년에 첫 번째 OLED 탑재 iPad를 출시하고, 또 다른 제품을 위한 OLED 기술 방식을 놓고 삼성 디스플레이, LG 디스플레이와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새로운 방식의 OLED 기술은 차세대 iPad 및 MacBook에 적용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있으며, 첫 번째 OLED 탑재 MacBoo.. 2021. 11. 3.
Apple, 연말연시 iPhone 출하량을 늘리기 위해 iPad 생산량 축소 현재 애플은 다른 회사와 마찬가지로 반도체 부족 현상을 겪고있으며 이로 인해 iPhone 13 및 Apple Watch Series 7와 같은 제품이 전 세계적으로 부족한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애플은 iPhone의 출하량을 늘리기 위해 iPad 생산량을 축소시킨 것으로 보여집니다. Nikkei Aisa의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iPhone 13 시리즈의 충분한 물량 확보를 위해 iPad 생산량을 급격히 줄였다고 밝혔습니다. 애플은 이를 통해 태블릿보다 수요가 높은 iPhone의 출하량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사에 따르면 애플은 iPad 생산량을 50% 절반으로 축소했으며, iPhone 13 라인업을 더 많이 생산하기 위해 iPhone 12와 같은 구형 iPhone의 생.. 2021. 11. 2.
macOS Monterey 업데이트 이후, 일부 Mac에서 벽돌 현상 발생 지난 10월 26일, macOS Monterey의 정식 버전이 배포된 이후 업데이트 한 사용자들은 SNS와 포럼을 통해 구형 Mac에서 벽돌 현상이 발생했다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 작년, macOS Big Sur의 정식 버전이 배포된 이후에도 동일한 구형 Mac 벽돌 현상이 발생했었고, 이에 대해 애플은 공식 지원 문서를 만들어, 2013년 및 2014년 MacBook Pro는 새로운 macOS Big Sur의 업데이트를 자제하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는 수정되지 않고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새로운 macOS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 현재 Apple 지원 커뮤니티의 최소 10개 이상의 게시물 (1, 2, 3, 4, 5, 6, 7, 8, 9, 10) 이 Mac을 macOS Monter.. 2021. 11. 2.
macOS Monterey 업데이트 이후, 일부 사용자 “메모리 누수” 버그 발생 지난 10월 26일, macOS Monterey의 정식 버전이 배포된 후 업데이트한 일부 사용자는 “메모리 누수”라는 심각한 버그를 겪고있습니다. 이 버그는 특정 macOS 프로세스 또는 응용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에서 장시간 실행되어 많은 량의 램을 소모하는 것입니다. 현재 이 메모리 누수 버그가 발생되고 있는 Mac 모델을 특정지을 수 없습니다. 현재 이 버그는 macOS Monterey를 사용하고 있는 14형 및 16형 MacBook Pro를 포함해 비교적 범위가 넓습니다. 트위터, 레딧, Apple 지원 커뮤니티 등 대부분의 포럼에서 시스템에 “응용프로그램 메모리가 부족” 하거나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 상태 보기에서 엄청나게 많은 량의 램을 사용하고 있다는 경고를 받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일부 .. 2021. 11. 2.